[5430번 : AC] - Gold5
[ 문제 ]
선영이는 주말에 할 일이 없어서 새로운 언어 AC를 만들었다. AC는 정수 배열에 연산을 하기 위해 만든 언어이다. 이 언어에는 두 가지 함수 R(뒤집기)과 D(버리기)가 있다.
함수 R은 배열에 있는 수의 순서를 뒤집는 함수이고, D는 첫 번째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. 배열이 비어있는데 D를 사용한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다.
함수는 조합해서 한 번에 사용할 수 있다. 예를 들어, "AB"는 A를 수행한 다음에 바로 이어서 B를 수행하는 함수이다. 예를 들어, "RDD"는 배열을 뒤집은 다음 처음 두 수를 버리는 함수이다.
배열의 초기값과 수행할 함수가 주어졌을 때, 최종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[ 입력 ]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T는 최대 100이다.
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수행할 함수 p가 주어진다. p의 길이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
다음 줄에는 배열에 들어있는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(0 ≤ n ≤ 100,000)
다음 줄에는 [x1,...,xn]과 같은 형태로 배열에 들어있는 정수가 주어진다. (1 ≤ xi ≤ 100)
전체 테스트 케이스에 주어지는 p의 길이의 합과 n의 합은 70만을 넘지 않는다.
[ 출력 ]
# 예제 입력 1
4
RDD
4
[1,2,3,4]
DD
1
[42]
RRD
6
[1,1,2,3,5,8]
D
0
[]
# 예제 출력 1
[2,1]
error
[1,2,3,5,8]
error
[ Code ]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Deque;
import java.util.LinkedList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int cnt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for (int i = 0; i < cnt; i++) {
char[] com = br.readLine().toCharArray();
int arrSize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Deque<Integer> d = new LinkedList<>();
boolean flag = true;
boolean error = false;
String strArr = br.readLine();
if (arrSize > 0) {
String[] numArr = strArr.substring(1, strArr.length() - 1).split(",");
for (String num : numArr) {
d.addLast(Integer.parseInt(num));
}
}
for (char command : com) {
if (command == 'R') {
flag = !flag;
} else {
if (d.isEmpty()) {
error = true;
break;
} else {
if (flag) {
d.removeFirst();
} else {
d.removeLast();
}
}
}
}
if (error) {
bw.write("error\n");
} else {
bw.write("[");
while (!d.isEmpty()) {
if (flag) {
bw.write(String.valueOf(d.removeFirst()));
} else {
bw.write(String.valueOf(d.removeLast()));
}
if (!d.isEmpty()) {
bw.write(",");
}
}
bw.write("]\n");
}
}
bw.close();
}
}
1. 명령어 저장
- command 문자열을 char 배열로 변환하여 각 명령어를 저장한다.
2. 입력 배열 처리
- 주어진 배열이 [1,2,3,4] 형식이라면, substring을 사용해 '['와 ']'를 제거한다.
- 이후, split(",")을 통해 숫자를 나누어 배열에 저장한다.
3. 덱 초기화
- 나눠놓은 숫자들을 Deque의 뒤쪽에 순서대로 추가한다.
4. flag에 따른 연산 처리
- boolean 타입의 flag는 덱의 앞/뒤 연산을 결정한다.
- flag == true: 앞쪽에서 값을 처리한다.
- flag == false: 뒤쪽에서 값을 처리한다.
5. 명령어 처리
'R': flag 값을 반전시켜 덱의 순서를 뒤집는 연산을 수행한다.
'D':
- flag == true: 덱의 앞쪽에서 값을 제거한다.
- flag == false: 덱의 뒤쪽에서 값을 제거한다.
- 덱이 비어있으면, error 값을 true로 설정하고 연산을 종료한다.
6. 출력 처리
- error == true: "error"를 출력한다.
- error == false: 덱이 비어있을 때까지 flag 값에 따라 값을 꺼내와 출력한다.
- 출력 형식은 [value1,value2,...] 형태로 작성한다.
'Algorith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AVA] 백준 3187번 : 양치기 꿍 (0) | 2025.05.06 |
---|---|
[JAVA] 백준 2638번 : 치즈 (1) | 2025.05.01 |
[JAVA] 백준 1822번 : 차집합 (1) | 2025.01.10 |
[JAVA] 백준 25192번 : 인사성 밝은 곰곰이 (0) | 2025.01.10 |
[JAVA] 백준 1302번 : 베스트셀러 (0) | 2025.01.09 |